청석바위

728x90
반응형

얀센 백신 부작용


 

안녕하세요 정보 바다입니다.

오늘 참으로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게 되었는데요..ㅜ

대구에서 얀센 백신 접종한 30대가 사망했다는 보도였습니다.

대한민국에서는 현재 얀센 백신을 맞고 사망한 첫 사례인데요..

 

  • 6월 10일 얀센 접종 / 몸살 기운 + 발열 증상
  • 6월 11일 증상 호전됐으나 혈압이 계속 떨어짐
  • 6월 12일 응급실 이송 및 치료 진행
  • 6월 13일 치료 중 사망

저 역시도 현재 내일이면 얀센 백신을 접종해야하다 보니 얀섹 백신 부작용에 대해 검색하게 되더라구요...

 

우선 연구발표된 얀센 백신 부작용은 얀센 백신 사이트에 접속해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
얀센 백신 부작용은 사용상의 주의사항으로 정리가 되어있습니다.

 

1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

이 약의 주성분 또는 구성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자

2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

1) 급성 중증 열성 질환이 있는 자(급성 중증 열성질환 또는 급성감염이 있는 경우, 백신 접종을 연기해야 한다. 경미한 감염 또는 미열로 접종을 연기할 필요는 없다.)

2) 뇌정맥동혈전증, 내장정맥혈전증 등 흔히 나타나지 않는 부위의 혈전증 또는 헤파린 유발 혈소판감소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이 백신의 투여는 잠재적 이익이 잠재적 위험을 능가할 때만 고려되어야 한다 (‘4. 일반적 주의, 3) 혈소판감소증 동반 혈전증’ 참조)

3) 항응고제를 투여중이거나, 혈소판감소증 또는 기타 혈액응고장애(예, 혈우병)가 있는 환자 (근육주사 시 출혈이나 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한다.)

3. 약물이상반응

이 백신의 안전성은 진행중인 3상 임상시험(COV3001)에서 평가되었다. 18세 이상 성인 총 21,895명이 이 백신을 투여 받았다. 연령 중앙값은 52.0세 (범위: 18-100세)였다. 안전성 분석은 백신 접종 후 중앙값 2개월의 추적기간 도달 시점에 수행되었으며, 2개월을 초과하여 추적 관찰된 참가자 11,948명이 포함되었다.

COV3001 임상시험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(≥10%) 국소 이상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(48.6%)이었고, 전신 이상반응은 두통(38.9%), 피로(38.2%), 근육통(33.2%), 오심(14.2%)이었으며 38℃ 이상의 발열은 9%에서 발생했다. 대부분의 약물이상반응은 경증~증등증으로, 백신 투여 후 1-2일 이내 나타나 1~2일 정도 지속되었다.

반응원성 사례는 대체로 고령자(65세 이상)에서 더 경미하고 낮은 빈도로 보고되었다.

COV3001 임상시험 중에 관찰된 약물이상반응을 다음의 빈도로 표1.에 기술하였으며, 각 빈도 분류 내에서는 중증도가 높은 순서로 나열하였다.

- 매우 흔하게 (≥1/10)

- 흔하게 (≥1/100 이고 <1/10)

- 흔하지 않게 (≥ 1/1,000 이고 <1/100)

- 드물게 (≥1/10,000 이고 <1/1,000)

- 빈도 불명 (이용 가능한 자료로부터 평가할 수 없음)

 

얀센 백신 부작용은 "매우 흔하게" 와 "흔하게" 나타나는 증상들을 확인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. 주사 부위 통증, 두통, 피로, 근육통, 오심, 발열이 쉽게 나타나게 되는데 백신 투여 후 1-2일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.

 

내일 얀센 백신 접종 잘 하고 나타나는 증상들 잘 정리해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

728x90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